부동산 금융
서울 주택가격, 어디까지 올랐나? 지역별 비교 정리
민트파일(MINT FILE)
2025. 6. 20. 18:00
반응형
서울의 집값은 과연 어디까지 오른 걸까요? 2025년에도 서울의 주택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강남, 서초, 용산 등 핵심 지역은 상위권 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자치구별 주택가격 평균과 최근 변화 흐름을 정리하여, 현재 서울 부동산 시장의 실체를 파악해보겠습니다.
✅ 서울 자치구별 평균 아파트 매매가 (2025년 상반기 기준)
지역 | 평균 매매가(억 원) | 특징 요약 |
---|---|---|
서초구 | 29.0 | 서울 최고가, 강남권 대표 주거지 |
강남구 | 26.3 | 재건축 기대감 높은 지역 |
용산구 | 23.3 | 개발 호재 다수, 고급화 진행 |
송파구 | 18.3 | 실거주 선호, 잠실 중심 상승세 |
과천시* | 18.3 | 경기권이지만 서울급 가격 |
*과천시는 행정구역상 경기도이나, 서울과 인접해 강남권과 비슷한 시장 흐름을 보입니다.

📈 최근 주택가격 추이: 상승세 지속 중
2025년 5월 기준,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는 전월 대비 0.13%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전체 상승률(0.33%)과 비교하면 낮지만, 안정적 우상향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재건축 아파트가 많은 강남, 서초, 용산 등은 상승폭이 더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 지역별 상승 흐름 해석
- 서초·강남구: 30억대 초반 실거래 다수, 재건축 기대감으로 가격 방어 강함
- 용산구: 한남뉴타운·용산공원 등 개발 가속화, 외국인 수요 유입
- 송파구: 잠실권 중심 평균 18억 이상, 실거주 중심 시장
- 기타 지역: 강북·중위권 지역은 편차 존재, 일부 거래 침체
📊 서울 전체 흐름 요약
평균 상승률은 작지만 누적 상승은 상당하며, "저점에서의 반등기"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고가 지역은 회복세, 중저가 지역은 정체 양상을 보이며 지역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습니다.
🔍 구매자 입장에서의 시사점
- 단지별 실거래가 확인 필수 – 평균 수치에 숨겨진 기회 포착
- 실수요자일수록 ‘관망’보다 ‘타이밍’ 전략이 중요
- 투자자는 강남 외 재개발·재건축 중심으로 중장기적 접근 필요
✅ 주요 단지 실거래가 분석 (2025년 1~6월)
-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염리동): 3/25 – 84㎡ 24.7억, 5/16 – 84.9㎡ 23.95억 → 평균 24억대 유지
- 마포래미안푸르지오 1단지 (아현동): 5/5~10 – 59.9㎡ 18.2억, 84.6㎡ 20.95억/21.05억
- 마포한강푸르지오 (합정동): 2/25 – 111㎡ 19.77억 → 33평 기준 평균 19억대 후반
📅 월별 실거래 흐름 요약
단지명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초 |
---|---|---|---|---|---|---|
프레스티지자이 | – | – | 24.7억 | – | 23.95억 | – |
래미안푸르지오1단지 | – | – | – | – | 18.2억 / 20.95억 / 21.05억 | – |
마포한강푸르지오 | – | 19.77억 | – | – | – | – |
✅ 투자·실거주 전략 인사이트
- 신고가 단지 중심으로 시장 흐름 체크
- 2~4억 낮은 ‘가성비 단지’ 주목 → 실거주+투자 혼합형 매수 고려
- 6~7월 DSR 규제 전 가격 변동성 증가 가능성에 유의
#서울집값 #서울부동산 #2025주택시장 #강남부동산 #서초구아파트 #용산개발 #송파부동산 #재건축아파트 #실거주전략 #부동산분석 #서울아파트매매 #마포아파트 #프레스티지자이 #래미안푸르지오 #한강푸르지오 #주택시장흐름 #아파트실거래가 #부동산투자 #갭투자 #서울지역분석 #서울부동산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