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반등했습니다. 금은 최근 신고점을 찍은 후 잠시 숨 고르기를 했으나, 하루 만에 다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이 여전히 불확실한 가운데, 미국과 중국 간의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더욱 강해졌습니다. 특히 달러 약세는 금 가격에 추가적인 상승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CME Group) 산하의 금속선물거래소인 코멕스(COMEX)에서는 6월 인도분 금 선물이 전 거래일 결제가격인 3,226.30달러에서 10.90달러(0.34%) 오른 3,237.20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금 선물의 결제가는 CME가 해당일 오후 12시29분부터 12시30분 사이의 거래 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날 0시에 공고됩니다.
연합뉴스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귀금속 중개사인 킷코 메탈스의 수석 시장분석가인 짐 와이코프는 "트레이더들은 금값 랠리를 지속시킬 주요 펀더멘탈 변화를 기다리고 있지만, 여전히 금값은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금값 강세의 주요 원인으로 '안전자산 수요'를 꼽았습니다. 또한,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금값은 최근 5거래일 동안 8% 이상 상승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20% 이상 상승한 상황입니다. 금은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그 수요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연합뉴스는 이날 백악관은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공은 중국 쪽에 있다"며, "중국은 우리와 협상해야 하지만, 우리는 굳이 중국과 협상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3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1% 하락했으며, 이는 연합인포맥스의 시장 예상치인 0.0%를 하회한 수치입니다. 이로 인해, 작년 9월 이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수입 천연가스 가격이 19.8% 급락하면서 석유를 비롯한 연료 수입물가는 2.3% 하락했습니다.
또한, 달러 지수는 전장 대비 0.16포인트 하락한 99.18로, 3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달러 가치가 낮아지면, 달러로 거래되는 금값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끼게 되어 다른 통화 보유자들의 금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독일은행인 코메르츠방크는 "최근 금값 상승세는 지속적인 달러 약세와 관련이 있다"며,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화 위상이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금은 미국 달러화 투자자들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전망도 금값 상승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연방기금금리(FRR) 선물시장은 연준이 오는 6월 기준금리 인하를 재개하고, 연내 최대 100bp(1bp=0.01%) 인하할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CME 페드워치 툴(FedWatch Tool)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0분 현재, 연준이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를 25bp 이상 인하할 확률은 72%로 반영되었습니다. 또한, 연내 두 차례(각 25bp) 이상 금리 인하 확률은 95.4%, 세 차례 이상 금리 인하 확률은 79.1%, 네 차례 이상 금리 인하 확률은 47.5%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한 추가적인 단서를 얻기 위해 16일에 발표될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위 자료는 금선물 미결제약정 비율입니다.
금선물 미결제 약정(Open Interest, OI)은 특정한 선물 계약에 대해 아직 결제되지 않은 계약의 총 수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선물 거래에서 거래가 완료되지 않고 남아있는 계약의 수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시장의 활발함이나 투자자들의 관심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면 금선물 미결제 약정은 콜쪽에 많이 집중돼 있습니다. 즉 상방을 본다는 것이지요. 미결제 약정의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금선물 미결제 약정의 중요성:
- 시장 유동성: 미결제 약정 수는 시장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미결제 약정이 많으면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시장이 유동적이고 활발하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투자자 신뢰: 미결제 약정의 증가 또는 감소는 투자자들이 해당 자산에 대한 신뢰나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미결제 약정이 증가하면, 투자자들이 해당 자산에 대해 더 많은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결제 약정이 감소하면,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정리하고 있다는 뜻으로, 시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가격 변동성 예측: 미결제 약정의 급증이나 급락은 가격 변동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결제 약정이 급증하면서 가격이 오르면, 강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며, 미결제 약정이 급락하면 하락장이 지속될 수 있음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 시장 감정 분석: 미결제 약정이 많을 경우, 시장에 많은 매도/매수 포지션이 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시장의 방향성이 확실하지 않거나 강한 변동성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금선물에서 미결제 약정 분석 방법:
- 가격과의 관계: 미결제 약정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이는 강세 시장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결제 약정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하면, 이는 매도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미결제 약정의 변화: 일정 기간 동안 미결제 약정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추세를 분석하여, 향후 금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전반적인 추세와 비교: 금선물뿐만 아니라 다른 자산 클래스의 미결제 약정도 비교하여, 금 시장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시:
- 금선물 미결제 약정이 1,000,000 계약에서 1,200,000 계약으로 증가했다면, 이는 시장에서 더 많은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만약 금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미결제 약정이 증가했다면, 이는 추가적인 상승세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 반면에 금 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 미결제 약정이 증가했다면, 이는 금에 대한 매도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금선물 미결제 약정은 시장에서의 관심과 투자자들의 행동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를 분석하는 것은 금 가격의 향후 변동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집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600년, 금값이 우리에게 말해준 것들 (0) | 2025.05.05 |
---|---|
중국의 금 시장 변동성과 2025년 동향: 상세 분석과 전망 (1) | 2025.05.03 |
스페인, 포르투갈 대규모 정전 사태 (0) | 2025.04.29 |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완화 기대에도 불구하고 크게 상승 (0) | 2025.04.29 |
트럼프의 상호관세, ‘강한 미국’인가 ‘고립된 미국’인가 (1) | 2025.04.17 |